NGS(Next-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유전자 검사의 핵심 기술입니다.
PCR은 특정 유전자 서열을 증폭하여 감염병 진단, 암 변이 분석 등에 널리 사용되며,
NGS는 DNA와 RNA를 고속으로 분석하여 질병 예측 및 유전자 치료 연구에 활용됩니다.
그렇다면, NGS와 PCR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각각 어떤 상황에서 더 유리할까?
이번 글에서는 NGS와 PCR의 원리, 장단점, 비용 차이, 임상적 활용 사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NGS vs PCR: 차세대 유전자 검사 비교]
✔ 유전자 분석, NGS와 PCR 중 어떤 기술이 더 우수할까?
[NGS vs PCR: 기본 개념과 원리 비교]
✔ PCR (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 특정 DNA 서열을 빠르고 간편하게 증폭(Amplification)하는 기술.
✔ 감염병 진단, 유전자 변이 분석, 친자 확인, 법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
PCR의 원리
✔ 변성(Denaturation, 94~98℃) : DNA 이중 가닥을 단일 가닥으로 분리.
✔ 결합(Annealing, 50~65℃) : 프라이머(Primer)가 특정 유전자 서열에 결합.
✔ 신장(Extension, 72℃) : DNA 중합효소(Taq Polymerase)가 새로운 DNA 합성.
PCR의 장점
✔ 빠른 검사 속도. (2~3시간 내 결과 확인 가능)
✔ 비용이 저렴하고 간편한 실험 과정.
✔ 특정 유전자 변이 검출에 최적화됨.
PCR의 단점
✔ 소량의 DNA 서열만 분석 가능. (전체 유전체 분석 불가)
✔ 오염된 샘플에서 위양성(False Positive) 가능성 존재.
✔ 복잡한 돌연변이 검출에 한계.
✔ PCR은 단일 유전자 변이 분석에는 최적이지만, 전체 유전자 서열을 해독하는 데는 제한적이다.
✔ NGS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ext-Generation Sequencing)
✔ DNA 또는 RNA의 전체 서열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 검사 기술.
✔ 특정 유전자만 분석하는 PCR과 달리, 한 번의 실험으로 수백만 개의 유전자 서열을 해독 가능.
NGS의 원리 (Shotgun Sequencing 방식)
✔ DNA 분해(Fragmentation) : 유전체(DNA)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
✔ 서열 분석(Sequencing by Synthesis) : DNA 조각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서열화.
✔ 데이터 정렬(Bioinformatics Analysis) :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DNA 서열을 재구성.
NGS의 장점
✔ 전체 유전체(Whole Genome) 또는 특정 패널 분석 가능.
✔ 수천 개 이상의 유전자 변이를 한 번에 검출 가능.
✔ 암, 유전 질환, 미생물 분석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 가능.
NGS의 단점
✔ 분석 비용이 높고, 데이터 처리 시간이 길다.
✔ 대용량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고성능 컴퓨터 필요.
✔ PCR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검사 시간 .(1~2일 소요 가능)
✔ NGS는 광범위한 유전자 분석이 가능하지만, 비용과 데이터 분석의 복잡성이 단점이다.
✔ NGS vs PCR 검사 비교
PCR | NGS | |
검출 범위 | 단일 유전자 변이 | 수천~수백만 개 유전자 서열 |
검사 속도 | 빠름 (2~3시간) | 상대적으로 느림 (1~2일) |
비용 | 저렴 (수십~수백 달러) | 고가 (수천 달러 이상) |
활용 분야 | 감염병 진단, 돌연변이 분석 | 암 유전자 검사, 유전 질환 연구 |
✔ NGS vs PCR '정확도 비교'
PCR(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 특정 유전자 영역을 증폭해 검사하는 기술.
→ 정밀도가 뛰어나고 민감도도 높은 편.
✔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데 매우 효과적.
✔ PCR은 타겟 유전자만 분석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 즉, 검출하고자 하는 유전자 서열을 사전에 알고 있어야만 검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ext-Generation Sequencing)
✔ 수십만 개에 이르는 유전자 서열을 한 번에 분석 가능.
✔ 전체 유전체, 엑솜, 특정 유전자 패널 등 다양한 범위의 유전자 정보를 동시 분석가능.
→ 정확도보다 '포괄성'과 '정보량' 측면에서 매우 우수.
✔ 새로운 변이 탐지나, 복합적인 유전자 질환 분석 유리.
✔ NGS vs PCR '비용 비교'
✔ PCR이 NGS보다 훨씬 저렴!
✔ 장비 운용과 시약 비용도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 일반적인 PCR 검사는 몇 만 원~ 십 만 원대 수준으로 진행.
✔ NGS는 고가의 비용 발생.
✔ 검사 대상이 많고 처리 과정도 복잡하기 때문에,
→ 보통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대까지 다양하게 진행.
✔ PCR은 저비용 · 빠른 검사에 적합.
✔ NGS는 고비용이지만 더 깊이 있고 광범위한 분석이 가능.
✔ 결론적으로, NGS와 PCR, 언제 어떤 기술을 사용해야 할까?
PCR이 적합한 경우
✔ 단일 변이 검출.
✔ 특정 유전자 변이 검출.
✔ 신속한 진단이 필요한 상황.
✔ 저비용 검사에 적합.
NGS 활용사례
✔ 코로나19 진단검사. (RT-PCR)
✔ 결핵균, HPV 바이러스 검사.
✔ BRCA1/2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NGS가 적합한 경우
✔ 복합 변이 또는 미지의 돌연변이 분석.
✔ 광범위한 분석.
✔ 암 유전체 분석, 희귀 유전 질환 진단.
✔ 특정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하는 정밀의학 연구.
NGS 활용사례
✔ 암 유전자 패널 검사 (ex. Lung cancer panel, OncoPanel)
✔ 희귀 유전 질환 진단 (WES, Whole Exome Sequencing)
✔ 태아 유전자 이상 검사 (NIPT, 비침습적 산전검사)
✔ 약물 유전체 분석 (Pharmacogenomics)
미래에는 NGS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서 PCR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지만,
비용과 분석 속도 문제로 인해 두 기술은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NGS와 PCR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의 환자에게는 NGS를 통해 광범위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고,
이후에 특정 돌연변이를 PCR로 정밀 검출하여 약물 반응을 예측하는 식입니다.
이처럼 두 기술은 단순히 경쟁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임상병리사는 이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환자 맞춤 진단에 활용해야 합니다.
'유전자 검사 & 분자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병리학; 유방암 · 심혈관 질환 | BRCA · MTHFR 유전자 변이, 나도가지고 있을까? | 돌연변이 유전자 예측과 예방 가이드 (0) | 2025.04.18 |
---|---|
임상병리학 ; "PCR vs RT-PCR vs qPCR, 무엇이 다를까?" | 감염병 진단과 유전자 연구 필수 검사 분석" (0) | 2025.03.27 |
임상병리학 ; 면역검사와 분자진단 검사법 총정리! PCR, ELISA 차이점까지! (0) | 2025.02.16 |